PC없이 DVD를 굽는다. [Sony VRD-MC1]

HDTV | 2006. 5. 7. 23:00
Posted by okpojung















 

DLP프로젝션과 LCD프로젝션 TV의 차이점은 ?

HDTV | 2005. 11. 15. 23:59
Posted by okpojung
지식iN 홈 > 지식Q&A > 쇼핑 > 가전, 핸드폰 > 영상가전
DLP프로젝션과 LCD프로젝션 TV의 차이점은 뭔가요?
평점 :
+ 19 (19 명)error1730 조회 :36947답변 : 2
답변이 완료된 질문입니다. (2004-04-01 16:22 작성)
DLP프로젝션과 LCD프로젝션 TV의 차이점및 장/단점이 뭔지 알고 싶습니다^^
꼭 가르쳐 주십시오! 상세하면 좋겠습니다^^
질문자가 선택한 답변
도움이 되실런지...
paraakiss (2004-04-06 17:31 수정)
질문자 평
님의 답변 감사합니다! 정말이지 유익한 답변이고 저에게 아주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정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행복하세요!!!
어제 프로젝션 티비 구입한 사람의 허접한 소논문입니다^^;;
전문가는 아니지만 열심히 노력한;; 일반소비자의 입장에서 썼습니다

-서론-

DLP와 LCD의 차이점을 말씀드리기 전에...
제일 강조하는건 두 기술이 <우열을 가릴수 있는 관계가 아니라>
둘다 우수한 기술임엔 틀림없다는 것입니다.
단지 두 기술의 개성^^이 현저히 반.대.되는 것이기에
선택은 <사용자의 취향과 시청습관>에 의해서만
이루어져야한다는 것입니다.

이론적인 기술, 원리의 차이에 관해서는
제 글 아니라 다른 지식인검색에서도 주르륵 나올 것입니다.
제가 티비 구매전 가장 궁금했던 것은
생생한 체험담;;같은 거였는데 몇몇글 말고는 잘 없더라구요.
제가 말씀드리겠습니다^^


-본론-

1.화질

일단 자신의 능력에 맞는 예산과 티비 사이즈를 대강 정해놓으셨다면
누구나 티비 선택의 기준의 최고 주안점은 또렷한 영상일 것입니다.
또렷한 영상이라는 건 주관적이고도 감각적인 개인의 느낌인데
'또렷한 색감'과 '또렷한 형태' 두 가지에 의해 복합적으로 다가 오는 느낌이라
생각됩니다.(원론적인 이야기라기보다 사용자에게 적용될 때의 상황입니다.)

삼성과 엘지 두 회사 모두 자기네가 또렷하고 선명하다 그럽니다.맞습니다.
해상도도 똑같습니다.
두 회사 모두 지금 출시돼 있는 프로젝션 티비는 죄다 276만 화소입니다.
(LCD프로젝션인 소니베가는 삼백몇십만 화소로 우위에 있으므로..소니LCD는 일단 제쳐두고 삼성과 엘지로만 비교하죠.)
단지 다른 점은 사용자가 느끼기에
DLP는 '색감'이 뚜렷한거고 LCD는 '형태'가 선명합니다.
처음에 말씀드렸듯 장점과 약점(단점이라기보단 약점이 알맞을것 같아요)
이 서로 다른거죠.
즉,색감과 형태-둘다 완벽한 프로젝션 티비는 아직인것 같습니다.
둘중에 선택을 하셔야되는거죠.

* 삼성 DLP프로젝션 - 명도는 낮고 채도는 높아보입니다.
장점은 빨간건 새~빨갛게,검은건 시~꺼멓게,흰건 새하얗게...
한마디로 알록달록하고 색감이 굉장히 화려하죠.그래서 영화나 스포츠중계 방송에 아주 적합합니다. 대리점을 돌아다녀보면 삼성에서는 반지의제왕(어두운배경에 하얀 주인공이 나오는 영화죠.숲속에서 뽀샤시한;; 아르웬이 등장하는 부분에선 강렬한 명암대비때문에 신비로움 그 자체입니다.),다모(드라마임에도 불구하고 영화적인 화면이었죠),식물다큐멘터리 방송(꽃들이야 말로 정말 알록달록하죠),카레이싱방송(레이싱카나 오토바이들도 색깔이 아주 화려하죠),애니메이션(사진이 아니라 그림입니다.. 색깔이 원색적이고 다채로울 수 밖에 없죠)등만 틀어줍니다. 모두들 색감이 화려한 화면들이라 삼성 DLP의 장점이 더욱 부각되는 화면들이죠. 색감이 깊고 다양하다 해야하나요..암튼 명암대비가 높아서 색채대비도 높아보이죠.
그래서 화려하고 강렬한 느낌을 좋아하시는 분들은 한눈에 반하시죠~

단, 명암비가 높다는 장점을 잘 살리려면 어두운데서 시청을 해야 효과가 확연히
드러난답니다. 따라서 밝은 곳에서 시청할 시에는 전체적으로 어두침침하고 약간 무거운 느낌이 있습니다. 집에서 티비시청보다는 불꺼놓고 영화시청을 하실 분들에겐 더욱 장점으로 다가오고, 반대로 대낮에 뉴스나 드라마 보실 분들에겐 단점으로 다가오는 부분이죠.

약점은 형태가 뚜렷하지 않다는건데요, 그걸 확연히 느낀 때는 박지은선수가 골프경기하는 장면을 똑같은 인치의 DLP와 LCD로 동시에 봤을때입니다.
DLP로는 박지은선수가 푸른골프장에서 빨간옷을입어 생생하게 대비되는 느낌을 받습니다.그러나 확실히 박지은선수의 실루엣(테두리..)가 매끄럽지 못해보입니다.흔히 말해 '깨진다'는 표현에 가까운데(깨지는건 아닙니다.그치만 LCD에 비해 깨지는쪽에 가깝다는겁니다.) 해상도는 같다는데 단지 시청자에게 그런식으로 보여지는겁니다.
LCD로는 박지은선수가 푸른골프장에서 빨간옷을 입었는데도 별루 색감이 생생하게 대비되는 느낌이 없습니다..명도는 높은데 채도는 낮아보인다해야하나요..대신 박지은 선수의 실루엣(테두리..)은 옷주름 하나하나는 선명합니다.


* 엘지 LCD프로젝션 - 명도는 높고 채도는 낮아보인다.
장점은 형태가 선명하다는 것입니다.
전문가가 아니라 기술적인 설명으로 제가 꼬집어 말씀드릴수는 없는데요
분명한건 매장에서 보시면 확실히 그렇습니다.엘지 엑스캔버스 매장에서는 영화를 잘 틀어주지 않습니다. 주로 방송국에서 보내주는(물론 HD방송) 실내에서 촬영된 쇼프로그램,드라마,tv광고등을 보여줍니다. 색깔이 알록달록한 화면보다는 형태가 복잡한-울창한 나무숲(색깔은 단조로운 초록색밖에 없죠.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무,나무마다 선명하게 구별되는게 눈에 띄죠),쇼프로그램(실내스튜디오에서 촬영한거라 푸른하늘이나 알록달록한 풍경은 등장하지 않죠.다만 복잡한 형태의 무대장식과 복잡하게 치장한;; 연예인들이 떼거지로 등장하죠),초원을 달리는 표범(이것두 색깔이 단조로운 황토색이죠.초원의 우거진 마른풀들,표범의 색깔을 생각해보세요.색은 울긋불긋하지 않습니다.그러나 풀잎 하나하나,달리는 표범의 실루엣;;등이 비슷한 색인데도 테두리가 곱고 뚜렷해서 선명하게 표현됩니다.)

화려하고 강렬한 화면보다 곱고 섬세한 화면을 원하시는 분이라면 보면볼수록 이거다 싶습니다.

약점은 앞서말씀드린듯 화려한 색감이 안나옵니다.LCD로 영화보면 분명 색감이 밋밋합니다.조금 과장해서 말하자면 검은색이나 회색이나 그게그겁니다...DLP는 극장에서 보는듯한 느낌이 드는데 LCD로는 그 느낌 못따라잡습니다. 그냥 TV로 영화보는 느낌이지, 극장에서 보는느낌이 아닙니다.


2.음질
보통은 티비살때 음질은 그다지 신경쓰지않지 않나요^^;;?? 왠만큼 영화를 전문적으로 보시거나 귀가 예민하신 분들빼고는 말이죠.그런분들이라면 홈씨어터를 제대로 구축하시면 될 것 같구요..제가 자세히 아는 바가 없어서 이건..ㅎㅎ


3.기능과 수명
제가 알아본바로는 기능은 삼성이나 엘지나 출시일만 비슷하면 거의 같습니다.
그러니 이 부분에 대해선 그다지 고민안하셔도 될것 같네요.
수명은 비슷한데 DLP가 조금 더 길다고 들었구요
DLP든 LCD든 화면이 어두워지기 때문에 램프는 몇년에 한번씩 교체해줘야 한답니다.
한번에 20만원정도 한다 들었구요.


4.가격(48인치 이상)
같은 인치로 비교했을때 가격이 소니-삼성-엘지 순이죠.
제 생각에 DLP냐 LCD냐를 정하기 전엔 가격은 고려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DLP면 무조건 삼성사시면 되는거구요
LCD면 소니나 엘지를 사시면 되는거니까요.
삼성과 엘지는 같은 인치대에서 매장오픈가는 거의 동일합니다.
그런데 삼성보다 엘지가 할인률이 높아서 최종구매가가
오픈가보다 많이 떨어지는겁니다.

그래도 참고로 60인치로 삼성과 엘지 비교하자면
특소세 인하후(2004.3.24.)매장 오픈가로 다음과 같습니다.
삼성 SVP-61L2HXN 604만원
엘지 RN-60SZ30H 607만원
소니 KF-60WE610K 679만원

어딜가든 48인치이상이면
엘지는 매장가에서 최소 100만원,
삼성은 최소 50만원은 쉽게 깎아주시구요.



-결론-

1.영화나 스포츠중계(클로즈업된 큼직한 물체가 등장하며 알록달록한 화면)를 실감나게 제대로 보고 싶으신 분은 DLP를, 드라마나 기타티비프로그램을 시시때때로,장시간 보실분들은 LCD입니다!!
영화와 일반티비시청 둘다 욕심나는데 시청시간을 따졌을때 아무래도 일반티비시청시간이 배이상 많을것 같아서 화려하고 실감나는 영화보기는 포기했거든요.물론 화려한 영화보기를 택하시면 편안하고 부드러운 일반티비시청을 포기하셔야겠지요.

2.티비를 사실때 가장 중요한건 이게 무슨 기술을 썼네,기능이 더 많네..이런걸 알아보는게 아니라 매장에서 직접 눈으로 보시고 느끼는 겁니다.자신의 눈을 믿으세요!!
웬만한 성능은 출시된 시기가 비슷하면 어느 회사나 비슷합니다.
특히 화질비교는 직접 체험해봐야합니다. 이왕이면 똑같은 화면을 동시에 놓고 비교해보십시오.물론 DLP에 유리한 화면만 봐서도 안되고 LCD에 유리한 화면만 봐서도 안됩니다. 영화로도 비교해보시고 일반티비방송으로도 비교해보셔야합니다.

3.DLP냐 LCD냐를 결정하셨으면 DLP선호이실경우 삼성사시면 되구요, LCD일 경우 소니냐 엘지냐 결정하셔야되는데 소니 사시려면 엘지꺼보다 인치를 좀 줄여야 가격대가 비슷할겁니다. 개인적으로 화질로만 따지자면 10인치 작게 보더라도 소니가 낫다고 생각합니다만 외제라서..;; 내수를 걱정하신다면 10인치 크게 엘지로 보셔도 좋을 것 같네요.저희집에선 그렇게 결정했거든요^^

4.삼성이든 엘지든 일체형과 분리형이 있는데 혹시나 해서 말씀드리지만 분리형사십시오.셋톱박스는 앞으로 계속 업그레이드될거니까 미리 사놓고 후회하시면 안되잖아요.가격도 더 떨어질텐데말이죠..

5.가격흥정에 관하여:(프로젝션티비에 한해 제 경험을 토대로 말씀드립니다)
가전제품을 살 수 있는 곳은 네군데로 나눌 수 있습니다.
백화점,대리점,하이마트류의 양판점,이마트나 홈플러스류의 할인점.
저는 대리점과 양판점을 추천하구요,백화점과 할인점은 비추천입니다.
오픈가(매장에 써 붙어진 가격)로는 높은 것 부터
백화점>대리점=양판점>할인점
순서인데요 우선 백화점은 오픈가도 비싸고 흥정도 안되니 비추천입니다.
대리점과 양판점은 오픈가도 거의 똑같고 오픈가에서 가격흥정이 반.드.시 가능합니다.
힘들게 흥정하는게 아니라 그 쪽에서 쉽게 먼저 가격을 낮춰서 말해주시죠.
할인점은 오픈가로는 제일 낮습니다.그러나 가격흥정이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대리점과 양판점에서 오픈가에서 할인된가격보다는 반.드.시.높습니다.
또한 물건종류도 매우 적으므로 제일 별루입니다.
그렇다면 대리점과 양판점은 오픈가는 동일하고
흥정가는 엇비슷한편입니다.그러므로 발품을 많이파실수록 좋은 분을 만나셔서
낮은 흥정가를 얻을 확률이 높겠죠^^

6.마지막으로 브랜드별 추천모델입니다

소니베가 KF-__WE610K
삼성파브 SVP-__L5HXN1, SVP-__L2HXN
엘지엑스캔버스 RN-__SZ50H
(빈칸은 인치를 나타낼 숫자구요^^)

===========================================================

이상,
브랜드이미지나 시장선호도에 대한 선입견이 작용하지 않은 순수한 구입후기였습니다^^
저두 똑같은 질문을 올렸었는데 결국 답변을 못 듣고 구입했거든요.
제가 마우스품,발품팔아서 고생한 시간이 님께도 도움이 되셨음 좋겠네요~

참고로 매니아수준의 깊이있는 설명을 원하신다면 www.avkorea.co.kr 로 가보십시오.
도움이 될겁니다^^
답변들
re: DLP프로젝션과 LCD프로젝션 TV의 차이점은 뭔가요?
dragonbl (2004-04-02 11:35 작성)
아래 주소를 참고하세요..

상세하게 프로젝션의 종류별 차이점에 대해 설명해 놓았습니다.

http://www.displaybank.com/tv/guide/guide_pjtv.php

인쇄하기닫기
 
삼성, 홈 AV센터 기능 블루레이 리코더 출시
[디지털타임스 2005-09-16 11:53]





400GB HDD 탑재… 동영상 재생ㆍ녹화

삼성전자(대표 윤종용)는 대용량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와 유ㆍ무선 네트워킹 기능 등을 탑재, 홈 AV 센터로 사용할 수 있는 블루레이 리코더(모델명 BD-HR1000)를 출시했다고 15일 밝혔다.

회사측은 "이 제품은 모든 디스크나 메모리 카드의 재생은 물론 PC,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등 디지털기기의 동영상 및 음악파일들을 리코더로 가져와 집안에서 시청, 관리할 수 있는 홈 AV 센터 개념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제품은 디지털 및 아날로그 내장 튜너를 내장하고 있으며 블루레이 디스크와 CDㆍDVD 등을 재생할 수 있으며, 400GB HDD를 탑재하고 있어 내장튜너를 통해 받은 방송신호를 깨끗한 화질로 녹화할 수 있다. 또 고화질(HD) 방송의 경우 25GB 블루레이 디스크에 녹화시 2시간30분, HDD는 47시간 분량을 녹화할 수 있다.

또 이 제품은 이더넷과 IEEE802.11g 등 유ㆍ무선 네트워킹 기능을 탑재, PC의 콘텐츠를 블루레이 리코더로 받아 대화면 TV로 보거나 HDD에 녹화해 보관할 수 있다. 삼성종합기술원에서 개발한 DCM(Digital Contents Management) 기술을 탑재해 파일을 리코더의 HDD로 복사할 경우 자동으로 각 사진들의 고유정보를 부여해 분류와 검색이 손쉽다.

삼성전자 디지털비데오사업부 유병률 전무는 "차세대 광기기 분야는 삼성전자가 규격 제정에서부터 주도적으로 참여, 핵심 기술 및 부품 리더십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차세대 광기기 시장에서 차별화 전략을 구사해 지속적으로 선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가격은 500만원대.

이근형기자@디지털타임스

이근형 rilla@

 

SONY 디지털시네마 프로젝터 SRX-R110

HDTV | 2005. 9. 21. 23:04
Posted by okpojung


소니는 완전 HDTV보다 해상도가 높은 885만 화소(4096H×2160V)의, 고정밀 프로젝터용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K SXRD’의 개발을 발표했다. 이 디바이스는 프로젝터 부문 세계 최고의 해상도를 양산화 단계에서 실현하였으며, 디지털 시네마용 프로젝터의 세계 표준인 DSI(Digital Cinema Intiative: 미국의 메이저급 7개 영화사로 구성)의 권장 사양 ‘4K(4096H×2160V)’를 최초로 양산화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이다. 이 바로 이 ‘4K SXRD’를 채택한 고해상, 고휘도 프로젝터가 ‘SRX-R110/SRX-105’이다. 이 두 기종은 200인치에서 700인치에 이르는 16:9 스크린에 대응하며, 디지털 시네마 프로젝터로는 물론 다목적 홀이나 중앙 감시실 등 대형 화면에 고화질의 영상을 표현해야 하는 용도에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4K SXRD’디지털 시네마 프로젝터의 등장으로 2004년도 에미상을 수상한 소니의 영화 제작 시스템 ‘CineAlta’(시네알타)로 촬영한 고화질의 영상을 그 느낌 그대로 극장 스크린에서 만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촬영에서 배급, 상영까지의 시간을 크게 단축시켜 비용 절감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여기서 고 정밀 프로젝트용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K SXRD’의 주요 특징과 SRX-R110/SRX-105의 성능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885만 화소의 고해상도
소니는 작년에 완전 HDTV(1920H×1080V-200만 화소)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K SXRD’의 개발에 성공, 가정용으로는 처음인 완전 HDTV 프런트 프로젝터 ‘QUALIA 004’에 탑재하여 이미 큰 호평을 받은 바 있다. 이번에 개발한 ‘4K SXRD’는 그보다 4배 높은 해상도 (885만 화소)와 더욱 높은 콘트라스트를 실현하여 실크와 같은 매끄러움이나 깊은 흑색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준 높은 영상을 재현 할 수 있다. 프로젝터에 탑재 시 영상을 구성하는 기본 3원색인 RGB(적녹청) 마다 본 디바이스를 사용함으로써 2,655만 화소의 영상 표현이 가능하다. 또한 화소 내의 구동 회로 설계를 최적화 하여 해상도를 높였으며 기존에 9㎛였던 화소 피치의 경우, 화소간 공간은 기존의 0.35㎛인 채로 두고 8.5㎛로 축소하여 화소 면적을 10% 줄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885만 화소를 1.55인치 사이즈 내에 집적할 수 있게 되었다. 나아가 기존에는 하기 힘들었던 실리콘기판 상에서 885만개 화소 구동이 정밀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매끄러운 영상을 만들어 내는 ‘구동 소자의 설계 기술’ 및 ‘독자적인 신호 기록 기술’이 확립되었다. 이로써 스크린 크기가 300인치 이상인 경우에도 고정 화소 특유의 거친 느낌이 없어 고정밀, 고품위의 영상을 표현할 수 있다.


기존 대비 약 4배의 고휘도
디지털 시네마를 비롯한 다양한 용도를 감안할 때 고해상도뿐만 아니라 고휘도도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화소가 작아질수록 개구율이 저하되어 휘도도 낮아진다. 따라서 패널 사이즈를 기존의 0.78인치에서 1.55인치로 확대했다. 이로써 조명 면적이 약 4배가 되어 고휘도를 실현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빛의 반사율을 기존 패널의 65%에서 72%로 향상시킨 점도 휘도를 높이는데 큰 역할을 했다.


4000:1의 높은 콘스트라스트
‘4K SXRD’의 개발에 있어 콘트라스트를 높이는 것도 중요한 목표 중 하나였다. 따라서 광학부분에서 미광(stray light)을 억제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이 있었다. 결국 방향을 정확하게 제어하는 한편, 미광을 잘 발생시키는 스페이서(실리콘 기판과 유리 기판에 끼워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 대신 실리콘 웨이퍼 단계에서 유리 기판과 붙인 후 나누어 패널화 하는 방법을 채택했다. 이는 ‘2K SXRD’ 개발 시에 얻은 노하우이다. 이로써 실리콘 기판과 유리 기판의 간격을 1.5~2.0㎛ 정도로 매우 얇게 만들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고화질을 지탱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 일반적으로 응답 속도는 막 두께의 제곱에 비례하여 늦어진다. 따라서 막의 두께를 얇게 할수록 응답 속도는 달라진다. 패널 사이즈가 1.55인치이고 간격이 2.0㎛ 이하라는 것은 예를 들자면 축구경기장의 그라운드가 슬롯머신 구슬 1개를 사이에 두고 겹쳐있는 이미지라고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5mm초 액정 디바이스에서는 파격적인 응답 속도를 구현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 역시 고화질을 지탱하는 하나의 요인이다.


고품질과 양산성 실현
SXRD는 품질과 양산성 면에서도 뛰어난 디바이스이다. 패널 사이즈는 1.55인치이지만 기존과 동일한 2.0㎛ 이하의 매우 좁은 셀 간격을 스페이서를 사용하지 않고 패널 화상내에서 균일하게 맞출 수 있는 웨이퍼 단위의 패널화 프로세스 기술을 확립 했다. 이로써 패널화 프로세스에서 중요한 문제인 더스트 침입을 크게 경감시켜 높은 양산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더스트나 스페이서에 의한 화상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아 패널 화상 내에서 매우 균일한 밝기를 가진 고화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다양한 표시 기능 및 옵션
-멀티 스크린
1개의 화면 외에도 2개, 4개의 화면에 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영화관 뿐만 아니라 강의, 강연용 다목적 홀이나 다화면 표시가 필요한 감시 제어 용도 등에 폭 넓게 사용할 수 있다.
-풍부한 옵션 렌즈
투영 거리에 맞춰 선택 가능한 4종류의 옵션렌즈(LKRL-Z115/Z120/Z123/Z140)가 준비가 되어 있다.
-입력 옵션 보드
RGB 입력보드(5BNC)
HD-SDI 입력보드



Specifications

4K SXRD
디스플레이소자 SXRD(Silicon X-tal Reflective Display)
표시 사이즈 대각 1.55인치
화소수 4096(H)×2160(V)
반사율 72%
콘트라스트비(디바이스로서) 4000:1 이상
화소 피치 8.5㎛
화소간 공간 0.35㎛
응답속도 5mm 초
액정모드 수직배향
배향막 무기 배향막
구동소자 0.35㎛ MOS프로세스
액정 셀 간격 2㎛ 이하
RSX-R110, RSX-R105
투영시스템 3SXRD 패널렌즈 투영시스템
패널 SXRD 1.55인치(대각선), 4,096×2,160픽셀
렌즈 옵션
램프 2kW Xenon×2(RSX-R110), 1kW Xenon×2(RSX-R105)
휘도 10,000루멘(RSX-R110), 5,000루멘(RSX-R105)
투영화면 사이즈 200~700인치
대응입력신호 컴포넌트 비디오, HDTV, XGA~UXGA
입력단자 Input A:옵션, Input B:옵션, Input C:옵션, Input D:옵션
크기 740×460×1,300mm(W×H×D)
무게 약 95kg

문의 : 소니코리아 B&P (02)1588-7313
http://www.sony.co.kr/


Sound & Video Contractor / 2005월 6월호
 

블로그 이미지

okpojung

Hello I'm harold Jung. Thanks for visiting my blog.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43)
스크랩 (2)
Basic Category (9)
Business Management (11)
Casino Business (18)
IT 정보 (0)
Hospital Management (17)
Travel (5)
Restaurant (2)
Media (34)
A Wise Saying (3)
의미있는 글 (1)
My Photo (21)
Family Photo (3)
Other Photo (4)
Closed my photo (0)
Closed etc photo (0)
HDTV (7)
Smart Phone (1)
My Stuff (1)
Useful Site (1)
Religion (2)
임시보관함 (0)
비공개자료 (0)
비공개(서류) (0)